문화학교 강의계획서 |
강 좌 명 |
경기 민요와 장구 |
강 사 명 |
강 규 화 |
수강 정원 |
20 |
명 |
강의목표 |
중요무형문화재 (경기민요) 전승, 계승, 지역주민의 화합목적 |
강좌소개 |
전승 계승 보존에 관한 이론 및 국악 발성법, 아리랑 타령, |
교 재 비 |
|
재 료 비 |
|
준 비 물 |
교재 열채(장구는 문화원에 구비되어 있음) |
4분기 주차별 강좌 내용 (12주) |
1주차 |
10/14 |
“첫번째”2025년3분기 연장수업 (12잡가 및 민요)실기 및 장단 |
2주차 |
10/21 |
“두번째”국가지정)유형문화재 무형문화재 란 무엇인가?전승 계승 보존에 관한 이론 및 국악이란(대한민국을 대표하는창) 발성법 |
3주차 |
10/28 |
“세번째”본조아리랑 구아리랑 해주아리랑 긴 아리랑 진도아리랑
(세마치 기본 변형1.2.3.4.장단 .무장단) 고수의 장단법 |
4주차 |
11/4 |
“네번째”매화타령(5절) 창부타령(2곡) 태평가(4절) 뱃노래 잦은뱃노래(경기도편) 굿거리 장단기본 변형1.2.3장단 |
5주차 |
11/11 |
“다섯번째” 12잡가(전문성) 유산가.소춘향가
민요 (대중성)닐리리야. 새타령.청춘가.창부타령 이론 및 실기 |
6주차 |
11/18 |
“여섯번째”금강산타령(잡잡가) 장기타령 (공식 비공식 도둑 호흡) 실기및장단 |
7주차 |
11/25 |
“일곱번째”유네스코등재 된 아리랑은 무엇인가? 예술성. 학술성. 지역성. 역사성. 보존성에 관한 이론과 실기 및 장단 |
8주차 |
12/2 |
“여덟번째”금강산타령(잡잡가) 창부타령 태평가 (6주차7주차)중모리 굿거리기본장단 변형방단 및 실기 |
9주차 |
12/9 |
“아홉번째”노들강변 도라지 신고산타령(5절) 궁초댕기(5절) (함경도편) 세마치장단.어랑타령 장단 및 실기 |
10주차 |
12/16 |
“열번째”4.5.주차 반복연습 (세마치 굿거리 중모리 잦은모리장단) 실기 및 변형 장단 |
11주차 |
12/23 |
“열한번째”정선아리랑 한오백년 강원도아리랑(강원도편 )무장단 엇모리 중모리 장단 한배의 장단과 호흡이란? 토속민요 향토민요 실기 및 장단 |
12주차 |
12/30 |
“열두번째“나도 명창”“나도 고수” 단체 발표/ 개인발표 2주차~11주차 |